본문 바로가기

건강박사

딸기의 효능과 부작용이 이렇게 많아요

반응형

 

딸기

딸기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레드푸드의

대표적인 과일인데요.

제철이 1월부터 5월까지여서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가장 맛이 뛰어난 제철과일이기도 합니다.

달콤한 향과 맛이 특징인

딸.기는 생으로 먹기도 하지만

각종 과자나 빵, 케이크

그리고 각종 유제품의 주재료로

폭넓게 이용됩니다.

특히 딸.기에 풍부하게 함유된

비타민C를 비롯한 여러 미네랄의 함유로

체내 유익한 효능들이

다양하게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딸기의 효능

1. 피로회복

딸.기의 가장 대표적인 성분이라고 한다면

바로 비타민C 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100g 기준 약 99mg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양이 거의 사과에 비해 10배에

이를 정도라고 합니다.

이렇게 풍부한 비타민C 성분이

피로를 유발하는 각종 독소 및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뛰어난 항산화작용을 해줌으로써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2. 면역력향상

딸.기에는 비타민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인체의 면역력을 증강시켜주는

효능이 있어 각종 질병을

예방해줍니다.

3. 암 예방

위에서 언급했듯이 딸기는

종양 성장을 억제하며,

신체의 염증을 감소시키는

강력한 산화 방지제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4. 혈관질환 예방

딸.기의 칼륨은

맵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한국인에겐 꼭 필요한 영양으로

우리 몸에서 나트륨과 균형을

이루어 혈압을 정상적으로

유지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 풍부한 엽산은 혈관벽을

튼튼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도 합니다.

덕분에 고혈압과 같은

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 되며 그로 인한 합병증에도

좋은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5. 눈건강

딸.기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A 성분이 시력을 보호하고

망막의 색소 단백질인 로돕신의

재생을 촉진시켜 눈의 전체적인

건강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장시간 모니터나 TV,

스마트폰을 봄으로써 생기는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데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6. 변비예방

딸.기에 함유되어 있는

섬유질과 펙틴의 작용으로

장운동이 활발해져

변비예방 및 치료에 좋습니다.

7. 피부 미용

딸.기의 비타민C는

레몬의 1.2배 더 많습니다.

귤보다 2배 더 많으며

사과의 10배 이상 많을 만큼

풍부한 비타민C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비타민C는 피부 속 콜라겐 합성에

도움을 주어 피부의 탄력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피부 미백에도

도움을 주어 줍니다.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 생성을

막아주며 자외선으로 생기는

콜라겐 파괴나 염증을

예방할 수도 있습니다.

8. 임산부건강

딸.기에는 임산부의 건강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알려진

엽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임산부의

건강 뿐만 아니라 태아의 건강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아울러 엽산 성분은

호모시스테인을

억제시켜주는 작용에도

이로운 작용을 하여

우울증 예방에도

좋은 과일이라고 합니다.

9. 다이어트

딸.기의 칼로리는

100g 기준 약 32칼로리로

낮은 칼로리인데 반해,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다이어트에 많은 도움이 되는

과일이라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고루 함유된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으로

건강하게 체중을 감량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하네요.

10. 당뇨병 예방

딸.기는 낮은 혈당 지수의 과일이며,

섬유질이 많아서

혈당 조절이 가능합니다.

딸기 166g 기준 영양소

-칼로리 : 50kcal

-단백질 : 1g

-탄수화물 : 11.65g

-식이섬유 : 3.81g

-칼슘 : 23.24mg

-철 : 0.63mg

-마그네슘 : 16.6mg

-인 : 31.54mg

-칼륨 : 44.82mg

-비타민C : 94.12mg

-비타민A : 44.82mg

딸.기에는 마그네슘, 칼륨,

섬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C 및 비타민A 등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딸.기 50Kcal는

일일 권장량인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반응형